[언론보도] 참사 직후 배·보상 보도, 30년 전 삼풍 때도 반복된 ‘악습’

언론 속 4·16재단
작성자
4・16재단
작성일
2025-01-14 18:23
조회
185

[기사 바로보기]

------------

언론보도 기사내용

 

“어제 방송(뉴스)을 봤는데 보상금액을 얘기하더라. 시기적으로 얘기하면 안 될 내용이다. 안그래도 주변에 시각 자체를 달리 보는 사람들이 있는데, 언론에서 보상 얘기를 선제적으로 하는 것 자체를 막아야 하지 않나. (…) 목숨은 돈으로 바꿀 수 없다. 고인에게 모독이 될 수 있다. 보상 관련한 부분은 언론에 노출해선 안 된다.”

지난 3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의 한 유가족은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이뤄진 정부·유가족 합동 브리핑에서 보상금을 언급하는 보도에 항의했다. 제주항공 참사 당일인 지난달 29일부터 사고 여객기의 항공보험 피해자 배상책임 담보 보상한도 관련 구체적 액수를 앞세운 기사가 나왔고, 일부 언론에선 희생자 1인당 보상금을 계산했다. 사고 직후 금융당국 등을 통해 발표된 구체적 액수도 언론을 통해 여과없이 확산됐다.

(중략)

참사 직후 피해자의 보상금에 대한 보도는 한국 언론의 관행처럼 반복돼왔다. 4·16재단 부설 기관으로 지난해 설립된 재난피해자권리센터 ‘우리함께’의 유해정 센터장은 6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1960년대부터 국내 언론의 재난보도를 훑어봤는데, 재난이 발생하면 사회면 헤드라인에 보도가 크게 실리고, 그 다음 면엔 바로 관련 선박, 항공 등이 얼마의 보험을 들어놨고 (피해자가) 개인적으로 얼마의 보험금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기사가 실린다”며 “(보상금 보도가) 마치 한 세트처럼 실리는 게 한국 언론의 습성이자 보도 관행”이라고 말했다.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 당시에도 언론은 앞다퉈 보상금액을 보도했다. 유 센터장은 “당시 피해자의 시신 발굴이 중요했던 유족들은 ‘유해를 수습해달라’, ‘잔해를 찾아달라’,  ‘위령비를 세워달라’ 등을 요구했는데, 정부는 계속해 ‘시신을 수습해달라거나 실종자를 더 찾아달라고 하면 제대로 된 보상을 해줄 수 없다’며 마치 가족들이 보상금을 더 달라고 요구하는 것처럼 얘기했다. 언론도 비슷한 논조의 기사를 보도했다”며 “재난이 발생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다음 가족들의 시위는 ‘보상금을 더 받기 위한 시위’처럼 얘기되는 관행이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후략)

미디어오늘 / 윤유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