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십육일
x
김겨울
이월의 월간 십육일에서는 유튜브 채널 <겨울서점>을 운영하며
MBC 표준 fm <라디오 북클럽 김겨울입니다>의 DJ이신, 김겨울 작가님의 에세이를 소개합니다
<그의 푸른 코스터>
나는 그가 만든 코스터를 차마 못 써서 몇 달 동안이나 부엌 찬장 한 쪽, 문을 열자마자 보이는 곳에 가지런히 놓아두었다. 양말목을 꿰어 만든 코스터는 튼튼한 촉감과는 달리 왠지 불안해보였다. 한창 양말목공예에 빠져있는 친구가 만든 커다란 크기의 담요 비슷한 것을 사정없이 물어뜯는 고양이의 모습을 영상으로 전해받은 뒤였다. 고양이를 기르는 집도 아닌데 차마 내가 쓰다 그렇게 만들어버릴까봐, 이 얼기설기 꿰인 실들이 언제라도 풀려버릴까봐 왠지 만지기가 겁났다. 여기에 어떤 시간들이 담겨 있을지 상상이 가지 않았다. 이것은 파란 바지의 의인이 꿰어낸 코스터다.
그는 사고 후유증으로 잠을 이루지 못한다고 했다. 수면제를 먹어도 소용이 없다고 했다. 세월호의 기억과 현재의 고통 사이에서 그가 찾은 것이 양말목공예였다고 했다. 나는 양손으로 양말목을 이리저리 겹쳐가며 튼튼한 직물을 직조해가는 그의 모습을 생각했다. 그의 양손. 그의 튼튼한 손. 그의 튼튼하고 슬픈 손. 자신을 해한 손. 흉터가 남은 손. 사람들을 끌어낸 손.
나는 코스터가 그의 손과 꼭 닮았다는 것을 발견한다. 군데군데 옹이와 주름이 졌지만 울퉁불퉁한 채로 완결성을 지닌 그의 코스터는 직접 짠 직물답게 안쪽으로 둥글게 말려 있다. 위에 컵을 올려두면 코스터는 부드럽게 위를 향해 모서리를 세운다. 컵에서 떨어지는 물을 가볍게 받아내서 자신 안으로 흡수하는 코스터를 보며 그의 손에 스며든 물을 떠올린다. 동그랗게 모은 그의 손. 그의 손에 실린 물의 기억과, 직물 사이사이로 숨은 긴 잠을 떠올린다. 그의 손이 보라색과 회색, 푸른색과 노란색, 채도와 명도가 다른 초록색, 짙은 회색과 빛나는 살구색 바닷속을, 양말목 더미 속을 헤메는 일을 생각한다.
어쩌면 나는 그의 튼튼한 손을 너무 걱정했는지도 모른다. 코스터며 함께 산 크로스백이 걱정 없이 튼튼하다. 한 모서리에 달린 노란 리본이 감상에 빠지는 나를 붙잡아세운다. 쨍한 노란색은 어김없이 정신을 차리라는 신호다. 기억을 멈추지 말라는 신호다. 감상만으로는 아무것도 되지 않는다는 것을, 코스터도 크로스백도 제 몸으로 예증한다.
그의 푸른 코스터들은 애초에 태어나지 말았어야 했던 물건이었을 것이다. 그가 화물을 싣고 나르는 동안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아서 그가 그 거친 손으로 운전대를 잡고 화물을 옮겼어야 했을 것이다. 소방호스 대신 아내와 딸의 두 팔이 몸을 감았어야 했을 것이다. 근막통증증후군 대신 하루를 마감하는 뻐근한 목과 어깨가 차라리 좋았을 것이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더라면. 아무것도 빠지지 않았더라면. 아무도 죽지 않았더라면.
나는 따뜻한 물을 끓여 컵에 가득 담고 차를 우린다. 할 수만 있다면 이렇게 꼭꼭 손을 잡고 싶다. 아래 위로 단정히 겹쳐진 이 양말목들처럼 그날 그 배에 탄 사람들의 손을 차곡차곡 겹쳐잡고 싶다. 돌아갈 수만 있다면, 몇 번이고 돌아갈 수만 있다면 그 사람들을 이렇게 잔뜩 꿰어가지고 돌아오고 싶다. 그래서 차를 몇 잔이고 우려서, 봄날에 어울리는 홍차며 커피를 내려서 손에 쥐어주고 싶다. 매끈하고 거친 그들의 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같은 생각을 했을까? 하지만 나는 조용히 차를 따르고 향을 피우며, 기도하는 마음으로 코스터를 몇 번이고 몇 번이고 매만진다.

월간 십육일은 매월 16일 4.16세월호참사와 관련한 에세이를 연재합니다. 다양한 작가의 일상적이고 개인적인 주제의 에세이를 통해, 공함하고 계속 이야기해 나가자고 합니다.
*월간 십육일에서 연재되는 모든 작품들은 4·16재단 홈페이지, 블로그, 뉴스레터 등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다른 소식들이 궁금하신가요?
뉴스레터
오래 기억해도 좋을 이야기_2월호
활동소식
타인을 위한 삶을 그립니다. ‘4.16의 꿈’ _꿈쟁이 박신우 군
활동소식
4·16재단 대학생 기자단 발대식 ‘민들레빛’
월간 십육일 활동소식
[월간 십육일-김겨울] 그의 푸른 코스터
뉴스레터
오래 기억해도 좋을 이야기 – 1월호
활동소식
특수단 수사결과 규탄 및 문재인정부의 책임과 역할을 촉구하는 4.16시민동포가족 공동집중행동 선포 기자회견
활동소식
4·16재단은 세월호참사 피해자와 함께합니다.
월간 십육일 활동소식
[월간 십육일-황인찬] 노란 리본을 단 사람을 보면
뉴스레터
함께해주셔서 고맙습니다
활동소식
함께하는 삶_최윤아
활동소식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_최윤정
뉴스레터
우리의 만남은 우연이 아니야
활동소식
왜 모르고 왜 기억이 안나는지_6주기 추념전
활동소식
꿈은 다함께 꾸는 것_세상을 바꾸는 4.16 청소년 문화제
활동소식
깨진 거울 속, 그제야 놓친 것이 보이기 시작했다._박예나
활동소식
창현이를 담은 여행사진_이시온
활동소식
꿈을 향해 달린 시간을 되돌아 보다_「4.16의 꿈」 결과 발표회
활동소식
텔레그램용 4.16이모티콘 출시
월간 십육일 활동소식
[월간 십육일-정세랑] 기억이 굳어가는 동안, 울타리처럼 서서
활동소식
어른다운 어른이 될 수 있도록_4.16학교
활동소식
나는 많은 것을 잃었다_박보나
활동소식
기억은 바래지 않는다._4.16 기억순례길
활동소식
4.16진실버스 “아직 끝내지 않은 사명”_ 마지막 이야기
뉴스레터
왜 안들리고 왜 모른 척하는지
활동소식
‘색을 덧 입는다는 것’_생명존중아카데미 세번째 시간
활동소식
옐로 스케치_네번째 이야기
활동소식
4.16진실버스_한주간 이야기 2주차
월간 십육일 활동소식
[월간 십육일-강혜빈] 등헤엄
활동소식
4·16재단, 2020 문화콘텐츠 시상식 진행
활동소식
4.16진실버스_한 주간 이야기
활동소식
벌써 가을_옐로 스케치 세번째 이야기
뉴스레터
기억해주오 – 기억하GO 챌린지에 동참해주세요 !